거닐다, 자연과 결이 맞다 거닐다, 자연과 결이 맞다

세번째 뜰 입구에는 동동이의 원형인 동자석인이 관람객 여러분을 맞이합니다. 전시실 중앙부에는 박물관을 대표하는 작품을 전통과 현대가 어우러지도록 전시해놓았습니다. 전시실 입구 우측으로는 흥선대원군의 글씨가 쓰여진 현판을 비롯해 면암 최익현의 초상화가 전시되어 있습니다. 전시는 담장을 따라 정원을 거닐며 때로는 의자에 앉아 휴식하며 감상할 수 있게 연출되어 있습니다.

부드러운 매력의 동자석인

조선시대 무덤에는 신분에 따라 석물을 세워 묘역을 치장하였습니다.

석물 가운데 석인은 문석인文石人과 무석인武石人, 그리고 동자석인으로 제작됩니다. 동자석인은 양쪽 갈래 상투를 하고 두 손을 공손히 모아 물건을 들고 있는 모습으로 왕릉에는 난간 일부에 포함되어 새겨진 경우가 확인되기도 합니다. 주로 서울과 경기지역을 중심으로 16세기에서 18세기에 원묘와 민간 분묘에 독립상으로 세워졌으며 18세기 이후에는 사라진 독특한 도상입니다. 동자석인의 제작은 당시 관료 사이에 시동을 거느리는 풍속과 불교조각의 영향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부드러운 매력의 동자석인 부드러운 매력의 동자석인
동자석인 童子石人

Stone Figurine of a Young Boy

조선, H 125㎝

이 동자석인은 사내아이의 형상으로 석상의 얼굴은 순진하고 해맑게 표현되었으며 오묘한 미소로 밝은 분위기를 띠고 있어 보는 이로 하여금 미소짓게 만듭니다.

도질토기 도질토기
백자청화운용무늬항아리 白磁靑畵雲龍文壺

White Porcelain Jar

조선후기, 51㎝

백자청화운용무늬항아리는 왕실에서 치러진 연향에 꽃을 꽂아두는 화준으로 쓰이거나 제사에 술을 담아두는 주준으로 사용되었습니다. 화준은 18세기 후반에서 19세기 전반까지 사용되었고 19세기 후반에는 청나라 에서 들여온 당화준唐畵樽으로 바뀌게 됩니다. 그러나 주준은 지속적으로 용준, 즉 용이 그려진 항아리만을 사용했던 것으로 파악됩니다. 전체적으로 길죽한 형태를 나타내고 있어 전기의 풍만한 형태의 항아리 모양과 차이를 나타냅니다. 특히 긴 목과 잘록한 허리, 그리고 하단 외면을 사선방향 안쪽으로 깎아 낸 것이 19세기적 특징으로 볼 수 있습니다. 문양은 목 부분에 간략한 운문을 두르고 있고 견부에 하향한 여의두문을 그려넣었으며 하단 문양대를 생략하였습니다. 이러한 양식의 용준은 19세기 말 이후 민간에서 사용되었던 것으로 추정됩니다.

환성정 喚醒亭

Hanging Board

이하응(1820~1898) 조선, 115 × 49㎝

환성정은 도리를 깨우치는, 또는 어리석은 사람을 깨우치는 정자라는 뜻입니다. 그러나 글자 그대로 해석하면 술을 깨우는 정자를 의미하기도 합니다. 아마도 환성정에서는 시를 읊고 술을 마시며 학문과 풍류를 즐겼던 것으로 보입니다.

환성정 환성정
대관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