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들다, 기술, 삶을 풍요롭게 만들다. 만들다, 기술, 삶을 풍요롭게 만들다.

전시는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습니다. 오른편에는 재료에 따라 흙·돌·청동·쇠를 이용한 인간의 기술 발전을 보여주는 전시입니다. 정면에는 우리 박물관을 대표하는 유물 중 하나로 반구대암각화 탁본을 벽면 가득 전시하였고 작품을 꼼꼼히 감상하실 수 있도록 편안한 의자를 마련해두었 습니다. 왼편에는 영산강 유역 지배층의 무덤인 대형 옹관을 사면에서 돌아보실 수 있게 중앙에 배치하였습니다.

구석기인의 만능 도구 주먹도끼

주먹도끼는 구석기 시대 인류가 돌을 가공하여 사용한 도구로써 사냥, 가죽 가공, 뼈 가공 등 다양한 용도로 생활 전반에 활용하였습니다.

뾰족한 타원형의 형태를 갖추고 있어 사람이 한 손으로 쉽게 사용할 수 있게 만들어졌습니다. 주먹도끼를 통해 인류 도구 사용의 뿌리를 찾아 볼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1987년 경기도 연천군 전곡리 유적에서 처음 발견되어 구석기 시대의 존재를 알게 되었습니다. 상설전시실의 주먹도끼는 서울대학교박물관에서 대여한 유물로 전형적인 아슐리안형 주먹도끼입니다.

연꽃을 품은 삼국의 수막새

고구려·백제·신라에서는 불교의 영향으로 연꽃무늬를 새긴 수막새 기와를 만들어 지붕을 장식했습니다.

고구려 수막새는 주로 붉은색을 띄며 연꽃의 끝부분이 뾰족하고 볼륨이 높아 강렬한 느낌을 줍니다. 정면에서 봤을 때 도드라진 문양은 연꽃이 살아 있는 느낌을 주기도 합니다. 백제 수막새는 꽃잎의 끝부분이도드라진 형태로 입체적이면서도 부드러운 모습을 하고 있습니다. 전시된 백제 수막새는 국립부여박물관에서 대여한 유물입니다. 신라 수막새는 연꽃잎의 부피감과 균형미를 갖추고 있어 고구려의 강렬함과 백제의 부드러움이 공존한 형태입니다.

연꽃을 품은 삼국의 수막새 연꽃을 품은 삼국의 수막새
도질토기 陶質土器

Potteries

왼쪽부터 백제 토기, H 7.2㎝ / 가야토기 / 신라토기

백제·신라·가야 토기는 각 나라별로 독특한 특징을 나타냅니다. 백제는 적갈색 연질토기 전통에 검은 간토기와 세발접시와 같은 고유한 특징이 담긴 토기를 제작했습니다. 신라의 굽다리접시는 직선적인 기형에 굽구멍이 위아래 엇갈려 뚫려 있습니다. 가야의 토기는 신라토기와 비슷해 보이지만 부드러운 곡선미를 나타냅니다.

도질토기 도질토기
도질토기 도질토기
쇠도끼 鐵斧

Iron Axe Blade

L 24㎝

쇠도끼는 도끼 또는 자귀 등 나무자루에 결합하여 농공구로 사용하였습니다. 쇠도끼는 기원전 3세기경 도입되어 삼한과 삼국에서 사용된 것으로 확인됩니다. 제작기법에 따라 주조철부와 단조철부로 구분하는데 우리 박물관에전시된 쇠도끼는 단조철부로 농공구 · 의장병기 · 무기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 되었습니다.

쇠도끼 쇠도끼
대관하기